내 강의자료

(16) u-비즈니스 구성요소

김덕현 2007. 2. 4. 23:27

 

1) u-비즈니스 프레임워크

 

u-비즈니스 프레임워크 개요

   ‘u-비즈니스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기업혁신 전략이며 기존 기업 정보시스템을 업그레이드 또는 보강한 새로운 정보시스템이고 그 자체가 새로운 기술이다. 여기에서는 자크만 프레임워크라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입각해서 u-비즈니스를 몇 가지의 관점 (views)과 초점 (focus)에 따라 세분된 모델로 분석해 볼 것이다.

 

[참고] 자크만 프레임워크 (Zachman Framework)

IBM사의 엔지니어였던 John Zachman이 정보시스템의 일반적 아키텍처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1986년에 처음 제안했고 그 후 업그레이드 된 것이다.

모델링 대상을 (1) 이해당사자 별 관점 (perspective or view) (2) 모델링 시의 초점 (focus)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분하고, 관점은 5개로, 초점은 6개로 나누어 총 30개의 셀(cell) , (5x6) 매트릭스로 표현한다.

관점계획수립자, 소유자, 설계자, 개발자, 하청업자 등의 5개로, 초점 6하 원칙 즉, 무엇을, 어떻게, 어디에서, 누가, 언제, 왜 등의 6개로 구분된다.

▪ 자크만 프레임워크는 그 논리적 구성요소("cell")들이 지극히 일반적이기 때문에 건물, 자동차, 비행기 등 어떠한 구조물이라도 표현할 수 있으며 미국 국방부의 DoDAF, 연방정부의 FEAF ITA/EA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framework): 대상 시스템의 아키텍처 (, 총체도)를 개발, 관리,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지침

 

u-비즈니스에 대한 관점 (views)

   ­ 국가 차원에서 볼 때, u-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이해당사자

주요 관심사

정책/전략 수립자

산업 전반 또는 특정 기업활동에 대한 혁신의 범위

일반 기업 (수요자)

기업 성과 (: 매출/이익, 시장,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u-비즈니스 적용 대상 업무 또는 새로운 사업 모델

최종소비자 (수요자)

개인생활의 편의성과 복리 증진에 필요한 u-서비스

솔루션업체 (공급자)

매출/이익 증대를 위한 제품/서비스의 기능

연구/기술자

새로운 기술의 연구개발 및 실용화

 

   ­ 특정 기업 차원에서 볼 때도, u-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당사자들 즉, 전략 부서, 현업 부서, 고객/소비자, 파트너, R&D 부서 등은 각각 위와 유사한 관심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u-비즈니스에 대한 국가나 기업 차원의 여러 관점은 범위 (scope) 모델, 기업/사업 (enterprise or business) 모델, 시스템 (system) 모델, 기술 (technology) 모델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업 모델 (Business Model): 특정 사업의 핵심 내용을 표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치 창출 방법, 대상 고객, 유통방식, 고객관리, 활동/자원계획, 핵심역량, 협력 네트워크, 비용/예산 구조, 수익 모델 등을 포함한다. (www.wikipedia.org 참조)

 

u-비즈니스의 초점 (focus)

   전통적 거래 또는 기존 e-비즈니스와 비교해 볼 때 u-비즈니스는 기업, 개인, 지능화 된 사물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운데 시간적 지연이 최소화 되고 공간적 제약이 해소됨으로써 보다 기민하고 편리하며 확장된 범위에서 기업활동에 필요한 거래와 협업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2) 관점 별 u-비즈니스 구성요소

 

● 범위 (scope) 모델: u-비즈니스 관련 산업 분류

   (1) ‘유비쿼터스 산업

    (1.1) 유비쿼터스 기반 (infrastructure) 산업

          () 광대역 복합 통신망 (BcN), WiBr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 IPv6,

           VoIP,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유비쿼터스 보안

      (1.2) 유비쿼터스 기기 (appliances) 산업

           ;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전지, RFID, 센서(MEMS), SoC,

             임베디드 S/W, 차세대 컴퓨터, 지능형 로봇, ..

    (1.3) 유비쿼터스 응용 (application) 산업

           ; 미래형 자동차, 정보가전, 지능형 홈네트워크,, 차세대 방송 (: 위성 DMB),

             디지털 콘텐츠, GIS, 지능형 교통관제 체계, 바이오 신약/장기, u-ERP, ..

    (1.4) 유비쿼터스 서비스 산업

           (1.4.1) 개인생활 대상: u-Home, u-의료, u-교육, u-관광, ..

           (1.4.2) 기업활동 대상: u-커머스, u-물류, u-뱅킹, ..

           (1.4.3) 정부/공공 대상: u-정부, u-국방, u-환경, ..

   (2) 전통 산업  (, 전통적 농//임산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2.1) u-기술을 활용한 기업 내부 업무의 효율화와 통합

(2.2) u-기술을 활용한 기업 간 거래 및 협업 성과 향상

(2.3) u-기술을 활용한 기업 가치사슬 및 산업 가치시스템의 혁신

 

● 기업 (enterprise) 모델: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u-비즈니스 사업 모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 결과도 많지 않고 공감대도 이루어 지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의 대표적인 분류 방식만을 소개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강의에서 설명할 것이다.

▪ 노무라총합연구소(NRI)의 사업 모델 - 실행 방법에 따른 분류

(1)    콘시어지 (concierge, 관리인)형 사업 모델  () 건강 화장실, 노부모 지킴이

; 개인생활을 대상으로 불안/고민 해소, 자기실현 지원 등을 포함

(2)    지식자산 관리형 사업 모델  () 콜센터의 집약, 물류 고도화

; 기업활동을 대상으로 지식자산의 관리 또는 지식을 이용한 자산관리를 포함

(3)    광역 계측형 사업모델  () 교통수요 관리, 환경/국토 관리

; 정부/공공을 대상으로 서비스의 투명성 향상, 시장 형성, 효과 측정에 초점

Accenture사의 사업 모델 분류

  ; 비용 절감, 매출 증대, 자산관리 효율성 증대, 업무 생산성 향상 등 적용 목적

B2C, B2B, B2D (Business-to-Device), B2E 거래 주체에 따라 구분

 

● 시스템 (system) 모델: u-시스템 아키텍처

    (‘유비쿼터스 시스템강의 참조)

 

● 기술 (technology) 모델: u-시스템의 요소기술

    (‘유비쿼터스 요소기술강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