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유비쿼터스 기술분류
1)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 기존 연구
유비쿼터스 기술 (uT: Ubiquitous Technology)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에 대한 국/내외적인 공감대는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포함한 관련 기술의 범위를 기존 기술과 명확하게 구분해서 설정하기 어렵고 기술 자체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강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몇 가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전체적 구성을 소개할 것이다.
o
o 전자신문사 (2005)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센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터랙션, 보안/프라이버시, 하드웨어 플랫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분류하였다.
●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 (
구분 |
요소 기술 (예) |
센서 |
수동형/능동형 센서, 5감/동작/상황 등 인식 |
프로세서 |
실시간 처리, 고성능 처리 |
커뮤니케이션 |
유/무선 통신, 위성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UWB |
보안 |
사생활 보호, 거래 보호; 기밀성, 무결성, 인증 |
인터페이스 |
사람-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기 간 인터페이스 |
☞ 센서 (sensor): 외부의 정보나 환경(예: 온도)을 인지하기 위한 기술
☞ 프로세서 (processor): 수집된 정보를 분석, 판단해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술
☞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센서, 프로세서 간의 정보 교환 기술
☞ 보안 (security): 센서, 프로세서, 사람 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왜곡, 분실, 도용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 인터페이스 (interface):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한 시스템 구성요소 간, 그리고 시스템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해 주는 기술
기존 정보기술에서 센서와 인터페이스는 주로 사람의 역할이었는데 u-IT에서는 이것이 전자기기의 역할이 된다.
●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 (전자신문사)
구분 |
요소 기술 (예) |
센싱 |
RFID, 센서, 상황인지 |
네트워크 |
WLAN, WPAN, USN, IPv6, 홈 네트워크, 이동통신 |
인터페이스/인터랙션 |
생체인식, 증강현실, HCI, 실감형 미디어 콘텐츠 |
보안/프라이버시 |
차세대 인증기술, RFID 보안기술, 센서 네트워크 보안기술,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
하드웨어 플랫폼 |
SoC, 차세대 PC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
애플리케이션 |
텔레매틱스, IBS, LBS, ITS, GIS |
☞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인식
☞ WLAN/WP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무선 방식의 구내통신망/개인통신망
☞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다양한 센서들 간의 자율적 통신망
☞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128비트 길이의 차세대 인터넷 주소 방식
[참고] IPv4: 32비트 길이의 기존 인터넷 주소 방식
☞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사용자-컴퓨터 간 상호작용
☞ SoC (System on Chip): 하나의 칩에 메모리, 프로세서, SW 등이 집적된 마이크로 컴퓨터를 설계, 제조하는 기술
☞ IBS (Intelligent Building System): 지능형 빌딩
☞ LBS (Location-Based System): 위치기반 시스템
☞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지능형 교통시스템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2)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 종합
다음 그림은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u-IT)을 센싱, 프로세싱, 인터페이스, 보호, 그리고 네트워킹 기술로 대분하고 이를 다시 계층구조로 세분한 것이다. 각 기술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 강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림]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