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강의자료

(14) 공공부문 대상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김덕현 2007. 1. 27. 10:41

1) 정부/공공 대상의 u-서비스

 

● 정부/공공 대상 u-서비스의 예

 

구분

u-서비스의 예

일반행정

차세대 전자정부 (u-Government), 국가전자조달시스템 (G2B),

통합물류수송시스템, u-민원처리시스템, 실시간 정책참여

SOC

지능형 도로, 항만, 공항 시설, u-City

재난안전관리

인적 재해 (화재, 수해, 가스누출, 전력보급 중단 등) 방재,

자연 재해 (홍수, 가뭄, 태풍, 지진, 산사태, 이상기온 등) 예방

사회안전관리 

u-국방 (u-Defense), 치안방범, 공공시설 안전관리 (다리, 도로 등의 안전 진단), 농산물/의약품의 안전관리

국토환경관리

국가 시설물 및 자연자원의 상태 파악/관리,

환경정보관리 (대기/수질/토양 오염도, 산림, 하천, 산업 폐기물 관리 등)

 

실시간 정책참여: 국가 주요 정책에 대해 국민들이 쉽고 편하게 참여하고 진행 상황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 휴대폰 등을 이용한 접근 채널을 설정

SOC (Social Overhead Capital, 사회간접자본): 생산, 소비 등의 경제활동을 도와 주는 산업기반시설 (: 도로, 항만), 생활기반시설 (: /하수도), 국토보존시설 (: 치산, 치수) 등을 가리킴

지능형 도로 (Smart Way): 도로의 노면 또는 가드레일 등에 지능형 센서르 내장해서 노면 상태 (: , , 서리), 위험물 등을 감지해서 운전자에게 알려 주고 통행료 수납을 자동으로 인식, 처리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도로

u-City: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을 융합해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시생활의 편의성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 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한 지능형 미래도시를 가리키다.

u-국방 (u-Defense):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j 무기체계나 장비 자체, k 작전의 지휘/통제, ƒ 군의 경영관리 및 군수관리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2) 유비쿼터스 정부 (u-Government)

 

u-정부의 특징

   ▪ 활용 기기: 휴대폰, PDA, DTV, 스마트카드, 광대역 통합망, 센서 및 USN

   ▪ 정부 내 업무 통합: 행정정보의 공유와 관련 업무 프로세스의 통합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 향상, 정부 전체의 목표 달성에 기여, 대국민 서비스의 효용성 향상

   ▪ 대국민 서비스: 맞춤형 서비스, 다양한 매체를 통한 국민 참여 확대, 프로세스의 효율 향상, 이동성 보장과 지능화를 통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 새로운 공간을 제공

 

u-정부의 3대 영역

 

[] 유비쿼터스 정부의 3대 영역 (참조: 한국전산원, u-Korea 전략 연구, 2004)

 

구분

목표

주요 내용

u-대민서비스 (u-Public Service: UPS):

민원 서비스의 혁신

-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실시간 맞춤정보 제공

- 민원서류의 모바일 신청 처리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민원처리

- 개인의 생애관리를 위한 서비스 (: 임신, 출산, 여행,

구직, 노후설계, 사망 )

- 사회안전, 환경, 교통, 복지 등 서비스

u-행정관리 (u-Public Management: UPM):

지능화 고도화

- 국가 기간망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화

- 정부 기간업무 (: 인사, 재정, 감사 )의 연계, 통합

- 범 정부적 정보자원의 통합/연계, 민간 연계 및 공동 활용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통합인사관리

- 정보 보호 및 리스크 관리

- 공공 자원 폐기물 관리

유비쿼터스 거버넌스 (u-Governance: UGN)

참여와 협업 환경 구축

- 정책/행정 정보의 실시간 제공, 국민의 정책 참여 확대

- 모바일 기기를 통한 전자적 참여 확대 (주민투표 )

-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 개인정보의 자기통제를 위한 실시간 확인 시스템 구축

 

u-정부의 발전방향

   1) 끊김 없는 서비스 (Seamless Service)

     ; 광범위한 연결성을 통해 장소, 시간, 대상, 용량, 매체의 제약이 없는 행정환경 구현

   2) 이동형 서비스 (Mobile Service)

     ; 업무 민원발생 현장이나 장소에 구애됨이 없는 업무 수행

   3) 자율적 서비스 (Autonomous Service)

     ; ‘찾아오는 민원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서 찾아가는 민원 서비스 전환

   4) 실시간 서비스 (Real-Time Service)

     ; 시간적인 지체 없이 접수, 처리, 응답해 주는 서비스

   5) 투명한 서비스 (Transparent Service)

     ; 실시간 모니터링 추적을 통해 서비스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