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경영

NIA, 6개 u-City 모델 과제 공모 (펌: RFID 저널 코리아)

김덕현 2008. 11. 19. 09:41

(출처: http://www.rfidjournal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32)

 

12월 사업자 선정 통해 내년 상반기까지 추진 계획

 

u-City 표준모델 및 안전관리서비스 모델개발 사업이 본격화된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원장 김성태, 이하 NIA)는 18일 서울청사 지하회의실에서 u-City 표준모델 및 안전관리서비스 모델 공모과제의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안요청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들 사업은 계약체결과 동시에 내년 상반기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공모과제는 부산광역시의 'u-IT 기반 터널 통합관제 시스템(7.84억원)'과제를 비롯, 광주광역시의 '문화와 안전이 있는 u-광주지하철(8.3억원)', 광주광역시 동구의 '능동형 u-city 안전망 구축(4억원)', 경기도 남양주시의 'u-상수도 관망관리 시스템 구축(9.4억원)', 전라북도 전주시의 'u-도시생활폐기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6.4억원)', 경상북도 고령군의 'u-가야투어 가이드 서비스 구축사업(7.5억원)' 등 6개다.

 

각 사업별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능동형 u-city 안전망 구축사업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생체신호 센서 기술과 유비쿼터스의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응급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유/무선으로 대상자 정보를 응급의료정보센터로 보내 이 자료를 분석하고 대상자 상태를 관리해 위기 상황 발생시 관할 119 상황실에 통보해 대상자를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하는 관․학․민 통합형 u-City 안전망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u-가야투어 가이드 서비스 구축사업은 대가야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 'u-역사문화관광', 고령군 개실마을 및 대가야 체험축제를 중심으로 한 'u-체험문화관광',  u-IT를 통한 새로운 관광문화 도출을 중심으로 한 'u-맞춤형관광', 연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u-포털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u-도시생활폐기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의 핵심은 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통합/연계하고, RFID 기반 종량제쓰레기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지리정보(Web GIS)기반 대령 폐기물 관리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폐기물별 관리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범위다.

 

u-상수도 관망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은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입해 상수도관망 관리의 정보화 및 IT화를 추진하고, 상수도관망 실시간 유지관리에 대한 운영관리 정보화 및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가이드라인을 제시 것이 골자다. 이와함께 고도화된 통합 상수관망관리시스템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u-IT 기반 터널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사업은 제2만덕터널과 구덕터널 등 노후화된 터널에 u-IT 기반의 터널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국가적 차원의 재난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터널 내 돌발 상황 발생 시 사고를 최소화화하기 위해 추진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u-IT 기술 접목을 통한 방재서비스, 교통안전 및 구조물 안전 서비스, 통합관제 시스템 서비스, 홈페이지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문화와 안전이 있는 u-광주지하철 구축사업은 문화지하철과 지하철안전관리를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문화지하철서비스는 광주시 문화콘텐츠 사업과 연계하고, 시민참여 UCC 문화서비스, 1역사 1특색사업 u-IT기술 적용, u-Subway 홈페이지 서비스, u-교통환승안내 서비스, 유실물 안내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지하철안전관리 서비스를 통해서는 USN기반의 하저터널안전관리 및 터널소음측정관리, RFID 기반 시설물예방점검관리, u-Subway 통합관제센터 구축 등을 구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