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조: Denny Park, u-Commerce Futures: Co-evolution of Strategy & Technology, Accenture, u-Korea Forum, April 2003
-------------------------------------------------------------------------------------------
1) Accenture사 사업 모델 개요
● Accenture사의 u-비즈니스 사업 모델 개요
▪ Accenture사는 u-비즈니스에 의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두 가지 차원 즉, 거래 주체와 적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였다. 거래 주체에 따른 분류에는 e-비즈니스에 대한 분류와 마찬가지로 B2C, B2B, B2E를 포함하고 지능적 사물 또는 기기와의 거래인 B2D (Business to Device)를 추가하였다. 적용 목적에 따른 분류에는 비용 절감, 매출 증대, 자산의 효율성 향상, 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 등을 포함하였다. (그림 참조)
▪ Accenture사의 사업 모델 분류는 유비쿼터스 기술 발전에 따라 진화될 것임을 전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u-기술의 한쪽 측면인 이동성(mobility)이 강조되어 있어서 다른 한쪽 측면인 내재성(embedment)을 강조한 사업 모델의 확장이 필요하다.
● Accenture사의 u-비즈니스 사업 모델 개요
[그림] Accenture사의 u-비즈니스 사업 모델 분류 (출처: Accenture사, 2003)
2) Accenture사 사업 모델의 세부 내용
● B2C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모바일 기기나 지능화 된 매장(시설)을 통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확대함으로써 비용 절감, 매출 증대, 자산의 효율성 향상, 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 등을 기함
▪ 텔레매틱스 (예) 차량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배송/물류 상태 파악
▪ Customer Self-service (예) 진열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이나 그림을 통한 안내 자료를 보고 고객이 직접 제품의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
▪ Micro-payments (예) 휴대폰을 통해 소액의 대금 결제
▪ Mobile CRM (예) 고객의 휴대폰을 통해 판촉행사 안내, 고객의 반응 수집
▪ Gateway into the Home (예) 가정 내 전화, TV, 가전기구 등의 통합제어 기기 판매
▪ Location Service/ 위치 서비스 (예) 휴대폰, 차량 내 컴퓨터 등에 길 안내 정보 제공
▪ Stock Management (예)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증권 투자
▪ Smart shelves (예) 고객에게 상품 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진열대
▪ Sales force enablement (예) 외근 중인 영업사원이 휴대폰을 통해 제품 정보 조회
● B2B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이동성이 부여되고 지능화 된 업무 프로세스를 통해 비용 절감, 매출 증대, 자산의 효율성 향상, 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 등을 기함
▪ Automated Maintenance/ 자동화 된 정비 (예) 고장으로 판명된 부품의 발주요청서를 업체에 송부
▪ Part enquiry/ ordering (예) 작업 현장에서 부품/자재의 재고 조회, 즉시 주문
▪ Mobile Auction/ Exchange (예) 모바일 기기를 통해 자재를 구매/판매
▪ Consignment Sales/ 위탁 판매 (예) 기존 유통 채널 외에도 협력업체나 고객을 통한 제품/서비스 판매
▪ JIT (Just-In-Time) Inventory Management/ 실시간 수준의 재고관리 (예) 자재 입/출고 현장에서 즉시 재고 수준에 대한 업데이트
▪ Mobile PIM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예) 모바일 기기를 통해 직원 개인을 위한 일정관리, 명함관리 등 서비스 제공
▪ Remote imaging (예) 출장지나 외근 중에 제품 카탈로그를 수신, 출력
▪ Work sign-off (예) 이동 중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마감 처리를 함
● B2D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지능화 된 사물/기기의 활용을 통해 비용 절감, 매출 증대, 자산의 효율성 향상, 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 등을 기함
▪ Asset Tracking (예) 기업 보유 자산의 상태를 센서가 자율적으로 파악, 관리
▪ Vendor Managed Inventory (예) 납품업체가 공장의 재고 수준을 파악, 자동 납품
▪ Environmental/ Technical Support (예) 공장 내 온도/습도 모니터링, 자율 조절
▪ Automated Plant Monitoring (예) 작업 공정의 속도 모니터링, 자율 조절
▪ Automated Facilities Management (예) 공장 내 에어컨, 난방, 조명 등 자동 제어
● B2E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모바일 기기나 지능화 된 사물/기기의 활용을 통해 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기함
▪ Asset mapping (예) 고객에게 납품할 제품의 창고 내 위치, 상/하역 순서 등을 작업자에게 보여 줌
▪ Mobile Collaboration (예) 외근, 해외출장, 사내 근무 중인 직원 간의 업무 협의
▪ Time reporting & Contract billing (예) 납품 또는 대금지불 요청 시기 등이 되면 자동으로 알려 줌
▪ Business Intelligence (예) 기업 내/외부의 다양한 source로부터 실시간 수준으로 수집, 분석된 데이터를 적합한 형태 즉, PC, 핸드폰, 회의실 벽면 등에 보여 줌
▪ Location-based Fleet Management (예)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송수단의 위치, 상태, 수송 중인 물품, 출발지, 목적지 등을 통합 관리
▪ Work-force scheduling (예) 프로젝트 또는 작업 별로 기업 내/외부 인력의 할당과 업무 부여 등을 수시로 업데이트, 통보
▪ Remote Diagnostics (예) 본사에 있는 엔지니어가 원격지에 있는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고장을 센서와 위성통신망을 통해 진단하고 현지에 있는 정비사에게 필요한 작업을 지시해 줌
'내 강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합경영 개론, 1주차 강의교안 (0) | 2010.01.11 |
---|---|
(20) u-비즈니스 사업모델 (일본 NRI) (0) | 2007.02.13 |
(18) u-기술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07.02.13 |
(17) u-비즈니스의 구현 (0) | 2007.02.04 |
(16) u-비즈니스 구성요소 (0) | 200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