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강의자료

(20) u-비즈니스 사업모델 (일본 NRI)

김덕현 2007. 2. 13. 11:44

* 참조

   1. 노무라총합연구소 저, u-네트워크연구회 역,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시장창조, 전자신문사, 2002 11

   2. Toshitada Nagumo, Innovative Business Models in the Era of Ubiquitous Networks, Nomura Research Institute, June 2002.

 

-------------------------------------------------------------------------------------------

 

1)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 개요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 개요

   ▪ 일본의 노무라총합연구소 (NRI: Nomura Research Institute)는 종래의 정보기술이 주로 프로세스에 대한 혁신을 추구해 왔다면 u-네트워크 기술을 중심으로 한 유비쿼터스 기술은 향후 (1) 제품/서비스의 혁신, 고도화, 부가가치 창출 (2) 경영 프로세스의 효율화, 고도화를 통해 기업활동과 산업 구조 전반에 대한 변혁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기술에 의한 제품/서비스 혁신 방향

     (1) 본래 기능의 획기적 향상 또는 신기능의 실현  () 상시 접속 가능한 CD

     (2) (제품/서비스)의 무해성 (無害性), 편리성, 적합성  () 개인화 강조

     (3)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고객 지원  () 가전업체의 제품 상태 모니터링

     (4) 물리적 제품보다는 서비스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 비데가 부착된 변기에 건강관리 서비스를 추가

     (5) 플랫폼 서비스 사업의 발전  () 교육, 의료복지, 환경 등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 이상과 같은 분석과 전망에 따라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을

(1) 개인 대상의 콘시어지 (Concierge, 관리자)

(2) 기업 대상의 지식자산 관리 (Knowledge Asset Management)

(3) 공공 대상의 광역 계측 (Wide-Area Management)등으로 구분하였다.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 개요

 

[그림]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 분류 (출처: 노무라총합연구소/전자신문사, 2002)

 

 

 

2) NRI u-비즈니스 사업 모델의 세부 내용

 

● 콘시어지형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목표:

     - 개인의 불안과 고민 (: 건강, 안전 문제)의 해소

     - 자기 실현 (: 여가, 이동, 자기계발) 지원

   ▪ 특징: ‘지켜 본다, 알린다, 돕는다.’ (그림 참조)

   ▪ 사업 모델의 확장을 위한 고려사항

     - 콘시어지 서비스를 위한 기기의 리스 또는 렌탈 사업

     - 관련 업체/기관과의 제휴  () 제조업체, 커뮤니티, 금융회사 간의 협업

     - u마케팅, 보험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료 부담을 경감해 줌

     - 이용료 부과 시스템에 대한 설계  () 직원이 이용하고 비용은 고용주가 부담

     - 서비스 제공 수준에 대한 협약 (SLA: Service Level Agreement) 체결

 

[그림] 콘시어지형 사업 모델 개념도 (Nagumo 2002의 그림 재구성)

 

 

● 콘시어지 (Concierge) u-비즈니스 사업 모델

   1. 생활 불안의 해소형 사업 모델 ()

- 사례 1. 건강화장실 (마쓰시타전기산업): 변기에 앉으면 체중, 체지방, 당뇨수치 등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줌 상태감시 사례

- 사례 2. 노부모 지킴이: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인형이 노부모의 건강상태를 감시하고 필요 시 멀리 있는 자식들이나 병원에 연락을 해 줌

- 사례 3. Home Security (미국 Xanboo): 무선 카메라와 센서 제어기를 통해 외부에서 집 안 상황을 감시하거나 필요 시, 사진, 비디오 등의 기록을 만들어 놓을 수 있음

- 사례 4. 마이카 콘시어지 (GM): 도난 시 자동차 내의 센서가 차주나 경찰서에 이를 통보해 줌. 장기적으로는 자동차의 정비 요청, 사고 시 구급 조치 요청 등을 할 수 있게 될 것임.

   2. 자기 실현 지원형 사업 모델 ()

사례 1. 음악 선생님 (야마하와 NEC사의 PC College): TV 전화를 통한 개인지도

- 암묵지를 형태지로 변환시킨 사례

사례 2. 자동개찰기 경유 시 맞춤 콘텐트 송신 (일본 Omron사의 Goopass): 철도의 정기이용권인 Goopass 소지자가 자동개찰기를 통과하면 그의 취향에 맞는 이벤트 정보 등을 휴대폰을 통해 제공 콘텍스트 마케팅의 예

- 사례 3. PTP (Power To the People): 상품 평가 사이트 벤치마크 마케팅

- 사례 4. 배리어프리 경로 내비게이션: 신체장애자나 고령자가 휠체어를 이용할 때 통행 가능한 이동수단과 경로를 알려 주어 목적지까지 유도

 

● 지식자산 (Knowledge Asset) 관리형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목표: 기업의 제품/서비스 혁신과 경쟁력 향상

   ▪ 특징: ‘티끌 모아 태산

   ▪ 유형: 지식자산의 관리 또는 지식에 의한 자산관리

     1) 지식자산의 관리 (‘Knowledge Asset’ Management)

        a. 지식자산의 집적(accumulation): 기업, 개인 등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식을 수집, 분석, 종합, 가공해서 고객/소비자에게 제공

- 사례 1. 개인별 금융자산, 거래 내역 등을 집적, 금융기관에 제공 (NRI)

- 사례 2. 회사가 보유한 번역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지식경영 서비스를 제공 (eTranslate)

        b. 지식자산의 증폭(augmentation): 고도의 지식/경험을 다수 고객에게 직접 제공

          - 사례 1. 굴착용 로봇의 사용법을 여러 작업장에 있는 작업자에게 제공 (NTT)

          - 사례 2. 콜센터에 축적된 전문지식을 다수의 고객에게 제공

     2) 지식에 의한 자산관리 (Asset Management by using Knowledge)

    : 리스 및 유지보수 대행, 물류 대행 등

 

[그림] 지식자산의 집적 및 증폭 (출처: Nagumo 2002)

 

 

● 광역 계측 (Wide-area Measurement) u-비즈니스 사업 모델

   ▪ 목표: 공공 서비스의 투명성 향상, 시장 창출, 효과 측정

   ▪ 특징: ‘엉성해 보이지만 새지 않는, 넓은 범위를 관측하되 조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관리를 해 주는 사업 모델

 

[그림] 광역 계측형 사업 모델 개념도 (출처: 노무라총합연구소/전자신문사, 2002)

 

 

 

● 광역 계측 (Wide-area Measurement) u-비즈니스 사업 모델

   1. 교통관리 분야

      ▪ 도로 건설이나 관리에 드는 비용 대 효과의 계측, 사업 평가

        () 민자유치제도 (Private Finance Initiative)에 의한 도로 건설 타당성 평가

        - 사례 1. RFID 태그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미국 TransCore, 한국 하이패스)

        - 사례 2. 전자 로드 프라이싱 즉, 차종과 트래픽 또는 시간대를 고려해서

도로 이용료를 탄력적으로 부과 (싱가포르 정부)

   2. 환경관리 분야

      ▪ 부품이나 폐기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해서 재활용, 환경 보호 등에 이용

        - 사례: 위성을 통한 폐기물 처리 차량의 위치, 적재 정보 모니터링 (후지전기)

   3. 국토관리 분야

      ▪ 국토 공간, 삼림, 도로 등에 대한 상태 파악, 관리

        - 사례: 삼각점 측량 지역에 RFID 태그 식재, 위치나 관광 정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