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2007년의 10대 정보기술에 대한 가트너사와 디지털 데일리의 예상에 대해 언급한 기사입니다.
- 가트너사는 10대 기술로 오픈소스(Open Source),
- 디지털 데일리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콘트롤(MMC), ETTH (Ethernet To The Home), 네트워크 접근제어(NAC), 프로덕트 팩토리, 가상화및 ILM, 쿼드코어 CPU, SOA (서비스지향아키텍처), 전자태그(RFID), ITAM(IT자산관리) 등을 꼽았습니다.
제 자신도 생소한 것들이 상당히 많은데 적어도 용어/개념 정도는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보기에 여기에 옮겨 두고 추후 하나 하나 검토해 보고자 합니다. 두 기관의 예상에서 가상화 외에는 중복되는 기술이 없는데 이는 두 기관의 관점의 차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출전: 글로벌 IT 네트워크, www.itglobal.or.kr>
o 가트너(Gartner)는 2007년은 물론 향후 3년간 성숙단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10대 기술을 발표(2006년 제25차 가트너 데이터센터 연례회의, 2006.11.28~12.1)
◆ 10대 기술(The Top 10 Technologies for 2007) | |
▷ 오픈소스(Open Source) ▷ 가상화(Virtualization) ▷ 정보 액세스(Information Access) ▷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
▷ 컴퓨트 유틸리티(Compute Utilities) ▷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s) ▷ Web 2.0(Web 2.0) ▷ 네트워크 통합(Network Convergence) ▷ 수냉 방식(Water Cooling) |
웹 2.0, 네크워크 통합 등 7개 기술은 단기적 관점에서 주류를 이루는 기술로서
많은 사용자에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일 것
- 반면 정보 액세스, 컴퓨트 유틸리티,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3개 기술은 미래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이나, 향후 3년내에 사용자들이 시범운영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
참고자료 : Gartner, 2006.12
-----------------------------------------------------------------------------------------
<출전: 디지털 데일리>
IT산업은 특성상 항상 끊임없는‘혁신’을 요구한다. 특히 분초를 다투는 글로벌 경쟁시대에 있어서 남보다 한 발빠른 창조적'혁신'은 생존의 키워드일 수 밖에 없다.
<디지털데일리>는 올해 국내 통신및 네트워크, 솔루션업계가 가장 관심있는 지켜볼만한‘10대 핵심 IT기술’을 꼽아보았다.
이번 '10대 기술'에는 올해 IT시장에서 화두가 될 만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는 핵심 이슈들을 중심으로 선정했다.
물론 본지가 선정한 '10대 IT기술'에는 이미 개념적으로는 10년전부터 출현한 것도 있지만, 단순히 개념적 정의에 머물렀던 기술들이 올해에는 상용화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10대 항목에 포함시켰다. <편집자>
본지가 선정한 10대 신기술에는 유무선을 비롯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고 여러 서비스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를 비롯해 ▲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콘트롤’(MMC),▲ ETTH (Ethernet To The Home), ▲네트워크접근제어(NAC), ▲'프로덕트 팩토리’,▲가상화및 ILM, ▲쿼드코어 CPU,▲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 ▲전자태그(RFID), ▲ITAM(IT자산관리) 등이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는 유무선을 비롯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자연스럽게 연결해주고, 여러 서비스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해 고객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 결합상품을 만들어 ARPU를 높여야 하는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기술로 손꼽힌다.
ETTH(Ethernet To The Home)는 FTTH(Fiber To The Home) 기술과 함께 초고속 인터넷 100Mbps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는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통신장비 공급 업체인 케이블웨이커뮤니케이션즈가 하나로텔레콤과 기술 독점사용에 대한 양허각서를 체결, 지난 9월 하나로텔레콤과 장비시험을 완료하고 12월부터 시범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네트워크접근제어(NAC)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로, 전세계적으로 2~3년 후에나 확산이 예상됐지만 국내에서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적용사례가 나타나면서 급속하게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최근 신한은행, SK텔레콤이 NAC도입을 검토하면서 올해 NAC에 대한 국내 IT시장의 관심이 뜨거울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덕트 팩토리는 특정 솔루션이 아닌 금융회사 또는 이동통신사업자가 다양한 고객 '맞춤형 상품'을 출시하는 데 필요한 전산지원체계이다.
신상품 기획부터 설계, 사전 시뮬레이션, 개발, 출시,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성과측정 등 상품을 출시하는데 필요한 전 과정을 자동화 하는 것이 바로 '프로덕트 팩토리'의 개념으로, 신상품 출시주기가 빨라지고 있는 금융권과 통신업계에서 올해 주목할 대표적인 IT기술로 손꼽힌다.
가상화·ILM 먼저 '가상화'란 물리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통합하거나 하나의 시스템을 분할해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케 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면 이기종 하드웨어 제품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시스템에서 파티셔닝을 통해 다른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시스템의 활용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비용절감 극대화라는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하드웨어 시장의 최대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쿼드코어는 현재 CPU의 가장 진화된 형태로 소개된 기술이다. 인텔의 쿼드코어 프로세서 출시가 2006년 4분기에 이뤄졌다.
듀얼코어에서 쿼드코어로의 전환 움직임이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쿼드코어는 올해 국내 컴퓨터시장을 좌우할 키워드로 손꼽힌다. 국내 주요 서버벤더들오 올 해 본격적으로 쿼드코어 프로세서가 탑재된 제품 영업에 나설 예정이다.
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는 비즈니스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단위인 '서비스'를 조합, 공유, 재사용 하는 것으로 기업의 IT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미 SOA에 대한 개념은 몇년전서 부터 나왔지만 지난해 어느정도 시장안착을 시작했고 올해 본격적인 성장세가 예상되는 IT신기술이다. 또한 SOA는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SOA는 '표준기술에 기반한 거대한 통합 플랫폼'으로 정의된다.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콘트롤(MMC)’은 통방융합서비스 한단계 발전시킬 열쇠로 촉망받고 있는 기술로, IP-TV나 VOD 등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이 기술을 이용하면 IP-TV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자신이 보고 있는 화면을 다른 사람에게 실시간으로 중계하거나, 자신이 보고 있는 채널에 친구나 가족을 초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자태그(RFID)는 그동안 정부의 RFID 시범사업 또는 일부 물류 기업들의 현장 적용을 통해 어느 정도 기술이 축적됐다. 올해는 국내외 RFID 솔루션업체들의 본격적인 시장 공략이 구체화되고, 적용사례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SK텔레콤, KTF 등 이동통신사들의 움직임에 큰 관심이 쏠려있다. SK텔레콤은 2007년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태그 확산 및 관련 투자비용을 고려해 전국적으로 유통망을 갖고 있는 여러 업체들과 협력을 추진 중이다.
IT자산관리(ITAM)은 최근 엔터프라이즈 IT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IT거버넌스’의 업그레이든된 개념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그동안 IT 운용 기술 표준인 ITSM(IT 서비스 관리)의 후속버전이 'ITAM'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ITAM은 서버, 소프트웨어, 네트웍 등 기업의 각종 IT 자산에 대한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 감독해 자산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돕는 솔루션이다. 올해 약 300억원의 시장규모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기술자산, 재정적인 부문, 소유권에 관련한 세부사항을 관리해 자산과 관련한 비용을 절감케 한다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IT경영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기업 생태계 (LG CNS '가치창조'에서) (0) | 2007.02.23 |
---|---|
IT 서비스 메가 트렌드 (LG CNS '가치창조'에서) (0) | 2007.01.24 |
향후 2~3년간 IT트렌드 '통합적 정보관리' (디지털데일리에서) (0) | 2006.10.31 |
디지털 컨버전스와 기업의 인수합병 (PWC자료 인용) (0) | 2006.06.07 |
[동영상 강의] 정보기술과 기업경영 (0) | 200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