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경영

기업 경영자들, RFID 기술의 잠재력에 긍정적 기대 (NCA IT Weekly에서)

김덕현 2006. 1. 18. 09:59

아래 글은 한국전산원 (NCA)의 IT 전략기획팀이 발간하는 IT Issues Weekly (2006. 1. 18자)에 실린 기사입니다.

 

이는 애버딘 그룹이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방식의 개체 인식) 기술의 가치에 대해 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서 RFID 기술이 기업활동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지만, 유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경제성과 기술적 한계 극복 등의 과제가 남아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미국 시장조사 기관인 Aberdeen Group의 보고서에 따르면, RFID 기술이 아직은 
기업의 내부 운영 과정에서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대다수의 경영자
들은 RFID 기술의 잠재적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조사개요 및 주요 결과>
o Aberdeen Group의 조사에 따르면, RFID 기술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도 없지는 않
  지만, 업종을 불문하고 대다수 기업의 경영자들은 RFID 기술의 잠재적 가치를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소매, 소비재, 우주항공, 군수산업, 제약, 제조 및 첨단기술 분야 246개 기업의 경
       영자들이 참여.
       2005년 10월과 11월 기간 동안 조사. 
       조사 응답 기업의 60%는 북미 지역 기업으로 조사 대상 기업의 26%는 연매출
       이 10억 달러 이상, 47%는 연매출이 5천만 ~ 10억 달러, 27%는 5천만 달러 미만
       인 기업
o 조사 대상의 60% 정도가 RFID 기술이 자사에 크게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
   - 응답자의 3분의 2는 RFID 기술이 자사의 사업 프로세스를 차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44%는 RFID 기술 도입을 통해 보다 매력적인 비즈니
     스 파트너로 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했으나, RFID 기술이 아직까지는 회사
     의 내부 운영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전체의 52%를 차지 

o Aberdeen Group은 이번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을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
   (1) 즉각적인 투자수익에 대한 보장 없이도 RFID 기술 및 신규 프로세스에 기꺼이 
        투자할 의향이 있는 market maker 그룹 (전체 응답 기업의 20%)
   (2) 투자수익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 market opportunist 그룹 (전체 응
        답 기업의 50%)
   (3) 당분간은 RFID 기술 진보에 관심을 갖지 않는 market laggard 그룹 (전체 응답 
        기업의 30%)
o Market maker 그룹의 53% 및 market opportunist 그룹의 31%는 이미 12개월 이상
  의 기간 동안 RFID 도입과 관련된 시범 프로젝트를 시행
   - 세 그룹 모두 궁극적으로는 외부업체가 공급하는 RFID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늘릴 계획인 것으로 나타남
o RFID 기술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기업들 중 상당수는 RFID 기술 자체 및 이 기술이 
  자사의 사업 프로세스에 미칠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답변
   -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현재 RFID 도입의 가장 큰 걸림돌은 투자수익
     을 입증할 수 없다는 점이라고 응답
   - 또한 기업들은 RFID 제품, 특히 미들웨어의 진화 및 업그레이드를 기다리는 중으
     로, 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48%가 RFID 프로젝트를 시범 프로젝트 단계에서 보류하
     고 있다고 응답 

o 조사 응답자들이 RFID 도입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꼽은 요인들은 대부분이 지난 
  2003년 월마트가 처음으로 공급업체들에게 2005년까지 제품 상자 및 팔레트에 
  RFID 태그를 부착하도록 요구한 이래 꾸준히 언급되어 왔던 것들로,
   - 강력한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의 부족 (52%), RFID 인프라 비용 (36%), 
     RFID 태그 비용 (34%), 국제적 표준 부족 (34%), 태그 판독률 불량 (22%) 등이 장
     애 요인으로 꼽힘 
o RFID 시스템을 구현하거나 도입을 고려중인 경영진의 자세 외에도, 기술적인 문제
  도 장애 요인으로 나타남
   - 응답자들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RFID 태그 및 판독기의 성능 불량 (41%)을 꼽았
     고, 이외에도 불완전한 RFID 미들웨어 (39%)와 턴키 방식의 RFID 시스템의 부족 
     (37%) 등이 장애 요인

o 조사 응답자의 53%가 향후 12~24개월 이내에 RFID용 네트워크 관리 툴에 투자
  할 예정이라고 답했고, 44%는 업그레이드된 네트워크 관리 툴에 투자할 의향이 있다
  고 응답
o 또한 기업들은 월마트를 비롯한 고객들이 요구하는 기준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상
  자 및 팔레트에 단순히 RFID 태그를 부착해 납품하는 수준에서 한발 더 나아가, 보
  다 수준 높은 RFID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o 전체 응답자의 42% 정도가 제품 추적, 실시간 재고 조사를 통한 정확한 판매 예측, 
  원자재 수급부터 완제품의 고객 납품에 이르는 공급망 전체의 모니터링 등을 위해 
  RFID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거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응답
o “모든 것은 RFID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조이며, 낙관적 기대는 곧 현실
  이 될 수도 있다. 위험은 있지만, 기회 또한 적지 않다˝고 이번조사 결과에 대해 
  Fontanella 부사장은 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