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적으로 '유비쿼터스 OOO'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련 용어와 개념에 대한 명확한 또 공식적인 정의가 거의 없는 상태이기에 자주 쓰이는 용어들에 대한 제 나름대로의 정의를 제시해 봅니다.
------------------------------------------------------------------------
■ 유비쿼터스(ubiquitous)
* 형용사이므로 그 뒤에 OOO가 붙어야 실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1988년 미국 제록스(Xerox)사 팔로알토연구소(Palo Alto Research Center)의 마크 와이저(Mark Weiser)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면서 시작됐다.
유비쿼터스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ubique”에서 기원하는데, “도처에 존재하는”, “편재하는” 등의 뜻으로서 (1) 종교적 의미로는 神(신)이 도처에 존재한다는 뜻을 담고 있지만 (2) 일반적으로는 컴퓨팅 즉, 정보처리가 가능한 기기가 도처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u-네트워킹)
다양한 기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필요한 정보나 콘텐트를 언제, 어디서나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구현한 실체를 가리킨다.
■ 유비쿼터스 컴퓨팅 (u-컴퓨팅)
물리공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사물/기기 (예: TV, 냉장고, 거울, 화분, 안경, 교량, 자동차, ..)에 지능화 되고 상호연결이 가능해 진 컴퓨터가 내장됨으로써 실시간 수준의 상황 인식과 판단, 작업수행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술이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다.
■ 유비쿼터스 시스템 (u-시스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컴퓨팅 기술을 이용해서 인간생활에 유용한,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HW, SW, 네트워크, 절차, 정보/콘텐트, 기기, 인간 등의 집합체이다. 유비쿼터스 시스템은 지능화 된 사물/기기와 컴퓨터 및 사람이 일체화되기 위해 고성능, 광대역화, 소형화, 컴포넌트화, 다양화, 단순화 등의 특성을 갖춰야 한다.
■ 유비쿼터스 플랫폼 (u-플랫폼)
유비쿼터스 시스템 중, 네트워크, 운영체제(OS), 시스템 SW 부분을 가리킨다.
■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u-미들웨어)
유비쿼터스 플랫폼 중, 플랫폼과 서비스 사이에서 작업의 중개나 조정을 담당하는 SW 부분을 가리킨다.
■ 유비쿼터스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솔루션; u-서비스)
유비쿼터스 시스템 중, 개인, 기업, 정부 등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 (예: u-홈, u-거래, u-정부)을 가리킨다. 서비스의 내용이 SW 중심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르며 이를 활용하는 지식을 포함하는 경우 솔루션이라고 한다.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사람 중심 (즉, any time/ where/ device/ service)이며, 서비스의 주체와 객체 (즉, 개인, 기업, 정부), 내용 (즉, 콘텐트) 등이 융/복합 된 것이라는 특성을 갖게 된다.
■ 유비쿼터스 IT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컴퓨팅을 실현하는데 필요한 컴퓨터 HW, SW,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현 기술을 가리킨다.
■ 유비쿼터스 기술 (u-기술)
유비쿼터스 IT에 NT, BT, CT 등이 융/복합된 기술. 유비쿼터스 기술은 식재성(embedded), 이동성(nomadic or mobile), 연결성(connect), 자율성(autonomous), 실시간성(real-time), 편의성(user-friendly) 등의 특징을 갖는다. 한편, 기존 IT가 기업혁신의 enabler였던 것에 반해 유비쿼터스 기술은 transformer로서의 위치를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유비쿼터스 환경/공간/사회 (u-환경/ u-공간/ u-사회)
유비쿼터스 기술에 의해 조성되는 인간 중심, 지식 기반의 활동 영역으로서 유비쿼터스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 유비쿼터스 인프라 (u-인프라)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성하는 기술적, 사회적 기반으로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플랫폼( 즉, 기술적 기반)과 법/제도, 문화, 사용자 인식 등 (즉, 사회적 기반)을 포함한다.
■ 유비쿼터스 (신)경제 (u-경제)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주체 (즉, 개인, 기업, 정부)의 새로운 경제활동 방식으로서 유비쿼터스 사회의 한 부분이 된다.
■ 유비쿼터스 비즈니스 (u-비즈니스)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해서 (1) 기업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사업 모델인 동시에 (2)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간적, 공간적 제약과 격차를 없앤 기업 활동 방식을 말한다.
u-비즈니스는 그 초점이 첫째, 새로운 유비쿼터스 거래를 창출하는 것과 둘째, 기존 기업 활동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u-플랫폼, u-기기 등은 IT, BT, NT 등 산업의 산출물이며 u-비즈니스의 대상, 그 자체는 아니라고 본다. u-비즈니스는 u-기술 내지는 u-시스템의 일부인 위와 같은 것을 활용할 뿐이다.
e-비즈니스에서 주로 B2C, B2B, B2G, B2E (Employee) 형태의 거래가 이루어진 것에 반해 u-비즈니스에서는 B2D (Device or Object) 내지는 D2D 형태의 거래가 확대된다.
u-비즈니스의 응용 시스템은 산업 유형에 무관한 u-ERP, u-SCM, u-CRM, u-Marketplace, u-협업 등 수평적(horizontal) 응용 시스템과 산업별 특성에 의존적인 u-러닝, u-의료, u-물류, u-관광, u-금융 등 수직적(vertical) 응용 시스템을 포함한다.
'유비쿼터스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 경영자들, RFID 기술의 잠재력에 긍정적 기대 (NCA IT Weekly에서) (0) | 2006.01.18 |
---|---|
가트너, 2010년까지 RFID 시장 30억 달러 규모 (NCA Weekly에서) (0) | 2005.12.21 |
VoIP의 밝은 미래 (eMarketer에서) (0) | 2005.10.29 |
u사회의 전망과 대응 국제 심포지움 (전자신문) (0) | 2005.10.26 |
월마트, RFID 프로젝트 중간 결과 공개 (NCA Weekly에서) (0) | 200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