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강의자료

(9) 유비쿼터스 사회의 의미

김덕현 2007. 1. 16. 10:17

1) 유비쿼터스 사회의 특성

 

● 유비쿼터스 사회란?

­ 유비쿼터스 사회란 유비쿼터스 기술 발전에 따라 지능화 된 사물과 사람 간에 긴밀한 상호작용이 가능해 짐으로써 개인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 향상, 기업활동의 성과 향상, 정부/공공기관의 혁신 등이 지속적으로 실현되는 사회를 말한다.

 

● 정보화 사회 vs. 유비쿼터스 사회

­ 유비쿼터스 사회는 현재의 정보화 사회로부터 다음과 같은 변화를 추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         기반 기술: 정보기술 (인터넷/) -> 유비쿼터스 IT BT, NT 등의 융합기술

-         구축 방향: 개인생활이나 기업활동을 컴퓨터 (전자공간) 내에서 처리 -> 컴퓨터가 사람들의 일상생활 (물리공간)에 식재되고 사람, 사물, 기기 간에 끊김 없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 짐 즉, 유비쿼터스 공간 (‘3공간’) 구축

-         가치 중심: 컴퓨터라는 수단의 효율성 -> 사용자인 사람의 편의성

-         제공 서비스: 고정적 (‘hardwired’) -> 상황에 따라 가변적 (‘programmable’)

-         중추 산업: 정보통신 산업 -> IT는 물론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 포함된 전체 산업

 

2)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동인(動因)

 

●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동인: 개요

    (참조: 한국전산원 u-전략팀, 유비쿼터스 사회, 2006)

 

   유비쿼터스 사회는 다음과 같은 동인(drivers)에 의해 등장,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1) 디지털 화된 생활/문화의 확산

       ; 인터넷 활용의 확대, 디지털 문화를 선도하는 신세대 소비자, 개인형 네트워크

   (2) 유비쿼터스 IT BT, NT 등 기술의 발전

       ; 네트워크, 센서,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등 기술

   (3) 산업간 /복합의 가속화

       ; 디지털 기술 내지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고도화와 기술간의 융합(convergence),

        기존의 산업 간 구분, 예를 들면, 방송, 통신, 오락, 교육, 금융 등의 구분이 없어진

새로운 제품/서비스의 등장

   융합 (convergence):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기술, 산업 등이 화학적 결합을 통해 하나의 기술, 산업으로 새롭게 창조됨

   복합 (complex): 독립적인 기술, 산업이 물리적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를 갖춤

 

●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동인: (1) 디지털 화 된 생활/문화의 확산

   ▪ 개인, 기업, 정부 등의 인터넷 활용 보편화, 확산

     () 2005년 말 기준, 국내 전자상거래 금액 358조원 (총 상거래 금액의 21.0%),

         2004년 말 기준, 국내 인터넷 뱅킹 비율 30.5%, 온라인 증권거래 비율 77.1%

   ▪ 디지털 문화를 선도하는 신세대 소비자의 증대

     () 이동통신사의 SMS 매출액이 음성통화 매출액을 초과,

          다운로드 방식의 음악 판매 사이트인 AppleiTunes의 매출액 급신장

   ▪ 사이버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개인형 네트워크의 확산

     () 싸이월드 미니홈피, 개인이나 기업의 블로그

   ▪ 디지털 웰빙 문화의 확산

     () 디지털 홈의 인포테인먼트, 당뇨/혈압 체크용 휴대폰 등 웰빙 가전

 

●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동인: (2) 유비쿼터스 IT BT, NT 등 기술의 발전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발전 

     () 블루투스, 와이브로, BcN

   ▪ 센서, RFID, 차세대 PC u-어플라이언스 기술 발전

     () RFID 태그와 각종 센서의 고도화, 소형화, 저가화, 네트워크화, 지능화

   ▪ 상황 인지 및 HCI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등 인터페이스 기술 발전

     () 위치/동작 인식, 5감 및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 지능형 SW와 로봇의 발전

     () 협상/중재 에이전트 SW, 가정용/산업용 로봇

 

● 유비쿼터스 사회의 발전 동인: (3) 산업간 융합, 복합의 가속화

   ▪ 디지털 가전의 발전과 융합 서비스 확대

     ()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 홈 네트워크, PMP, MP3 플레이어, DMB

   ▪ 새로운 유비쿼터스 서비스 (u-서비스)’ 산업의 등장

     () GPS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 자동차 + IT),

          위성/지상파 DMB 방송 (디지털 방송 산업 = 방송 + 통신 + 콘텐트)

   ▪ 전통산업의 유비쿼터스 화 변환

     () RFID 태그를 이용한 물류/유통 관리

   ▪ 다양한 산업의 융합(convergence) 또는 복합

     () 유비쿼터스 홈 (u-Home), 유비쿼터스 도시 (u-City)

 : IT, BT, NT, RT, ET 등 기술과 가전, 통신, 건설, 토목, 교육, 환경, 문화 등

산업의 융합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위성과 이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개인이나 사물의 위치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장치

 

3) ‘디지털 컨버전스

(참조: 한국전산원 u-전략팀, 유비쿼터스 사회, 2006)

 

디지털 컨버전스의 의미

   ▪ 디지털 컨버전스란 디지털 기술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디지털 컨버전스의 형태는 융합 대상에 따라 음성, 데이터, 영상 등 정보 융합’, 방송, /무선 전화, 인터넷 등 네트워크 융합’, 컴퓨터, 통신, 가전 등 기기 융합등이 있다. 

   [참고] 디지털 컨버전스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단초를 보여 주는 현상으로서 고도화 된, 미래의 유비쿼터스 기술보다는 현존하는 첨단의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함

 

● 융합 주체에 따른 디지털 컨버전스유형    

   (1) 인간 + IT 컨버전스

      ▪ 생체인식 기능과 결합된 디지털 기기의 확산

        () 생체정보를 내장한 ID 카드 또는 여권, 지문인식이 가능한 PDA

      ▪ 인간과 기계와의 결합인 사이보그 내지는 휴머노이드의 등장

        () 촉각과 온도를 감지하는 인공피부, 로봇 팔, 인공망막 등

   (2) 사물 + IT 컨버전스

      ▪ 사물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해 주는 RFID

        () 관광지/상점과 이용자의 휴대폰/PDA 간에 RFID를 이용한 관광정보 교환,

             RFID가 내장된 바위와 국방 시스템 간에 적의 동태 정보 교환

      ▪ 사물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

        () 도로와 차량에 내장된 센서 간에 교통정보를 교환하고 최적 경로를 제안

   (3) 공간 + IT 컨버전스

      ▪ 물리공간에 이동성이 부가된 위치기반 서비스 (LBS: Location-Based Service)

        () 차량에 부착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제안, 감옥에서 출소한 범죄자의 행적 추적

      ▪ 디지털 홈 또는 u-Home, 유비쿼터스 도시 (u-City)

 

사이보그 (cyborg): 인공두뇌학을 의미하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생명체를 의미하는 오가니즘’(organism)의 합성어. 사이버네틱스는 미국의 천재 수학자였던 노버트 위너 (1894-1964) 창안한 새로운 학문 분야로서 스스로 최적의 상태에 도달할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휴머노이드 (humanoid): 로봇의 일종으로 인간과 유사한 외양과 기능을 갖춘 로봇

   () 휴보 (KAIST), 아시모 (혼다), 큐리오 (소니)

위치기반 서비스 (LBS: Location-Based Service):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GPS를 통해서 개인, 차량, 사물 등의 위치를 파악해서 마케팅 정보 제공, 긴급 구조, 재해 예방, 교통 안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