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사회의 개인생활 변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개인은 가정, 직장, 거리, 상점 등에서 지능화 된 사물 (예: 냉장고, TV, 거울, 화분, 차량, 책상, 소파, 상품 진열대 등)과 무의식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쾌적하고 즐거운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된다.
● 유비쿼터스 홈 (u-Home)의 예
그림은 굳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건강 상태의 상시 체크라든지 의사, 간호사 등 전문가의 조언 등을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홈케어 (재택진료)의 시나리오이다.
[그림] 유비쿼터스 홈케어 (u-Homecare, 재택의료)의 예
(재구성:
● 유비쿼터스 쇼핑 (u-쇼핑)의 예
그림은 RFID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카드, 상품, 진열대, 계산대 등을 갖춘 지능형 매장에서 사물과 사람 간에 실시간 의사소통이 진행됨으로써 (1) 구매자 입장에서는 편리한 쇼핑을, (2) 판매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점포 운영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유비쿼터스 상점의 개념도
(재구성:
2) u-사회의 기업활동 변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기업은
(1) 기업 내부의 각종 업무 (예: 인적, 물적 자원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기업 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작업, 자원, 정보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합하며
(2) 기업 외부의 고객 및 파트너와 보다 효과적인 거래와 협업을 수행함으로써 가치가 높은 제품/서비스의 창출과 기업 경쟁력의 향상을 이룩하게 되고
(3) 기업의 가치사슬 내지는 산업 차원의 가치 네트워크 또는 ‘가치 웹’ (value web)에 존재하는 여러 기업과의 역동적 협업을 통해 사회경제 시스템 전반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 유비쿼터스 마케팅/판매의 예
기업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고객의 위치, 선호하는 제품, 구매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적절한 판촉 이벤트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출전: 정보통신부, LBS 산업 육성계획, 2002. 5.)
3) u-사회의 정부/공공서비스 변화
유비쿼터스 기술의 적용을 통해 정부는 내부 업무 효율을 높이고 각종 정부서비스를 통합한 가운데 국가 사회의 기반과 국민생활, 그리고 산업경제 등에 대한 혁신을 이룩하게 된다. (윤심, 유비쿼터스 기반 기업/정부 혁신, 2005 참조) 예를 들면,
(1) 사회기반 혁신 측면에서는 재해/재난의 예방과 복구, 공공 시설물의 상태와 이력, 교통/도로 상황,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유통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사회를 조성하고
(2) 국민생활 혁신 측면에서는 휴대폰이나 TV를 통한 민원처리, 맞춤형 공공 서비스 (예: 주민등록/부동산 관리), 원격진료 등을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여 주며
(3) 산업경제 혁신 측면에서는 u-러닝, u-헬스케어, u-물류, u-항만, u-도시 등 신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
● 유비쿼터스 도시 (u-City)의 예
유비쿼터스 도시는 도시의 구성원 (예: 주민, 공무원, 기업인, 동물), 사물 (예: 가로등, 도로, 자동차)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운데 필요한 정보/콘텐트를 의식하지 않는 가운데 주고 받으면서 일상생활의 편의성은 물론, 경제활동의 효과성을 높인 새로운 도시 공간을 말한다.
[그림] 유비쿼터스 도시의 미래 모습
(출전:
'내 강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유비쿼터스 사회: 개요 (0) | 2007.01.27 |
---|---|
(11)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이전 (0) | 2007.01.20 |
(9) 유비쿼터스 사회의 의미 (0) | 2007.01.16 |
(8)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예 (0) | 2007.01.13 |
(6) 유비쿼터스 시스템 아키텍처 (0) | 2007.01.11 |